번역학 입문은 번역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을 위한 ‘개론서’로서, 번역학 연구의 주요 흐름을 한데 모아 명료하게 요약 정리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독자는 번역학 연구의 큰 흐름을 이해하고 필수적인 배경지식과 연구 방법에 대해 공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번역에 관한 개별적인 연구에 착수하는 데에도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책은, 전문 번역가들과 번역 전공생들이 자신의 실무 경험이 큰 틀 속에서 어디에 속하는지를 판단하고 분석해볼 수 있도록,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이에 관해 논한다. 결론적으로, 이 책은 번역학에 입문하고자 하는 학생부터 전문 번역가까지, 번역학에 관한 지식을 효과적으로 습득하고자 할 때 딱 맞는 필수적인 번역학 지침서임에 틀림이 없다. 이 책의 초반부에서는 번역학의 핵심 이슈와 이론의 기본 개념 등을 살펴보며, 큰 틀에서의 학문적 이해를 돕는다. 중·후반부는 본격적으로 번역학 연구 과정과 분석, 그리고 접근 방법 등에 대한 확장된 개념을 각종 도판 및 표와 같은 다양한 참고 자료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쓰였다. 더불어 개념 설명 뒤에는 추천 문헌과 탐구 문제, 토론·연구 주제 등을 제시하여, 독자가 더욱 넓고 다양한 시각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내용을 풍성하게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이 책은 번역학을 공부하는 학부·대학원 과정의 교재로 쓰이기에도 매우 적합한 효과적인 내용과 구성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학 입문은 2006년 초판 출간 이래로 대표적인 번역학 입문서로 자리매김하여, 번역학을 공부하는 많은 이들에게 길잡이가 되었으며, 국내 번역학계를 크게 성장시키는 데에 기여하였다. 이번 5판은 전면 개정 번역을 통해 내용의 질을 높였으며, 더욱 상세하고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을 덧붙여 독자가 ‘번역학’이라는 학문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저자: 제레미 먼데이(Jeremy Munday)
영국 리즈대학교(University of Leeds) 번역학 명예교수이다. 영국 캠브리지 대학교 현대언어학 학사, 리버풀대학교 응용언어학 석사, 브래드포드 대학교 번역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번역학, 번역이론, 담화분석, 번역과 이데올로기 등을 주로 연구한다. 주요 저서로는 Introducing Translation Studies (1판 2001 ~ 4판 2016), Evaluation in Translation (2012), Translation: An Advanced Resource Book (2004, 2판 2019)(Basil Hatim과 공저) 등이 있다. 편저로는 The Routledge Companion to Translation Studies (2009), Corpus-based Translation Studies (2011), Discourse Analysis in Translation Studies (2015) 등이 있다.
저자: 사라 라모스 핀토(Sara Ramos Pinto)
영국 리즈대학교 부교수이다. 시청각번역과 멀티모달리티를 주로 연구하며 최근 국제저명학술지 <The Translator>(2021), <Target>(2020), <Translation and Multimodality>(2020) 등에 연구논문을 게재했다. 시청각번역 관련 풍부한 실무경험을 갖고 있다.
저자: 제이콥 브레이크슬리(Jacob Blakesley)
영국 리즈대학교 비교문학, 문학번역 부교수이며, 단테연구소 공동 소장이다. 라우트리지
문학번역 시리즈와 피터 랭 단테 시리즈의 공동 편저자이다.
번역자: 남원준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외대 영어대학 EICC학과 교수로 학생들과 통번역을 공부하고 있다. 역서로는 『번역학입문: 이론과 적용(1판)』(한국외대 출판부, 2006)(대표 역자: 정연일), 『번역사와 번역학-소통의 시도』(한국외대 출판부, 2009)(대표 역자: 정연일)가 있다. 한국외대 강의상(2010년, 2016년, 2019년), 풀브라이트 교수 장학 프로그램 지원(2017년)을 받았다.
번역자: 이형진
뉴욕주립대(빙햄턴)와 펜실베이니아주립대에서 비교문학 석·박사를 취득한 후, 라이스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숙명여대 영문학부 번역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문학 공동번역서는 Korean Green Literature: An Anthology of Seven Contemporary Korean Eco- Poets(산림청, 2020), Grasshoppers’ Eyes: Po-ems (Ko Hyeong-Ryeol)(Parlor Press, 2017), Walking on a Washing Line: Poems of Kim Seung-Hee(Cornell UP, 2010), O T’aesok’s “Bellflower” in Modern Korean Dra-ma(Columbia UP, 2009), Allegory of Survival: Theater of Kang-Baek Lee(Cambria Press, 2007) 등이 있으며, 저역서로는 『K문학의 탄생: 한국문학을 K-문학으로 만든 번역이야기』(김영사, 2023, 공저), 『문학번역: 대학에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한국외대출판부, 2015, 공역), 『문학번역의 세계-외국문학의 영어번역』(한국문화사, 2009, 번역)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