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대전환을 마주한 유럽을 탐구하다
『대전환 시대 유럽의 새로운 길』은 세계의 대전환과 복합위기를 마주하고, 이에 대응하는 유럽의 모습을 탐구할 수 있는 한국외대의 세 번째 신사회계약인문사회총서이다.
기후 위기, 보건 위기, 인구 절벽, 4차 산업혁명, 고령화, 청년 실업, 디지털 전환, 그린뉴딜, 그리고 뉴노멀 시대. 시대적 전환 및 위기와 관련하여 빈번하게 오르내리는 어휘들이다. 이러한 대전환 및 복합위기에 대한, 유럽의 문제 해결과 대응 과정의 모습이 남다르다.
유럽은 선도적으로 신사회계약을 통해 다음 세대를 위한 새로운 사회공동체 수립을 구상하고 있다. 당면한 복합위기로부터 회복을 넘어 다음 시대에 적합한 사회 모델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데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유럽은 이전 시대가 남긴 상처들을 치유하고, 인간과 생태환경과 사회 모두의 공생적 온존을 내용으로 하는 신사회계약을 향한 긴 여정의 출발선을 이미 넘어섰다. 이 책은 이러한 대전환 시대에서의 유럽의 새로운 방향, 그리고 위기와 갈등을 넘어서는 그 여정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저자: 김면회
베를린자유대학교(FUB) 정치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저자: 김봉철
영국 런던대 킹스칼리지(King’s College London) 법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HUFS Jean Monnet Centre of Excellence 공동소장
저자: 강유덕
프랑스 파리정치대학(Sciences Po, Paris) 경제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Language & Trade 학부 교수
저자: 김일곤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인문사회연구사업단 전임연구원
저자: 박상준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인문사회연구사업단 전임연구원
저자: 이영주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인문사회연구사업단 전임연구원
저자: 이하얀
불가리아 국립 소피아대학교 정치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인문사회연구사업단 전임연구원
저자: 신의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책임연구원